재정학을 위한 기초경제학으로서 세무사 자격증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을 위해 집필되었다. 재정학은 미시경제학의 응용분야이므로 재정학에서 다루는 이론적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미시경제이론에 대한 기초가 선행되어야 한다. 재정학은 학문적 특성상 미시경제학이 90%, 거시경제학과 국제경제학이 나머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무엇보다도 미시경제학적 기초가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이러한 재정학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교재를 집필하였다.
재정학에서 요구되는 기초경제이론만을 다루어 효율적으로 구성
* 미시경제학적 기초가 가장 중요한 재정학의 특성 최대 반영
* 명시적이면서도 간결한 문장으로 이해가 쉽도록 도모
* 학습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중요 부분 강조 및 박스 처리
* 동영상 강의 : barun-edu.com
본 교재는 재정학을 위한 기초경제학으로서 세무사 자격증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을 위해 집필되었다. 재정학은 미시경제학의 응용분야이므로 재정학에서 다루는 이론적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미시경제이론에 대한 기초가 선행되어야 한다. 재정학은 학문적 특성상 미시경제학이 90%, 거시경제학과 국제경제학이 나머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무엇보다도 미시경제학적 기초가 가장 중요한 사항이다. 이러한 재정학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교재를 집필하였다.
그렇다면 미시경제학의 어느 영역까지 선행학습이 필요할 것인가가 문제가 되는데 대부분의 미시경제학교재는 재정학에 필요 없는 분야까지 포함하고 있거나 반드시 필요한 내용이 누락된 경우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수험생들이 미시경제학의 전부를 공부한다는 것은 비효율적인 학습법이 될 것이고, 경제학의 특성상 혼자 독학하는 것도 한계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본 교재는 재정학에서만 요구되는 미시경제이론만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수험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그리고 난이도의 차이가 거의 없이 미시경제학과 재정학에서 동일하게 다루는 내용은 내용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과감하게 삭제하였다. 즉 재정학을 위한 기초경제학에서는 말 그대로 기초경제학적 내용만을 다루고 있다.
독자들은 이 교재를 접할 때 재정학을 위한 기초경제학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재정학이라는 과목의 일부라고 생각해야 한다. 여기에서 다루는 내용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면 재정학이라는 과목 자체를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현장에서 재정학을 강의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모든 이론적 내용을 꼼꼼하게 학습해야 한다는 것을 독자들에게 당부드리고 싶다.
독자들이 없는 한 이 책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며 저자 스스로 독자가 된다는 마음으로 독자의 편에 서서 책을 집필하고자 최대한 심혈을 기울였다. 수많은 수험생들과 학생들의 열정, 본 저자에 대한 신뢰와 애정 어린 눈빛은 나에게 큰 자극제가 되었고 이 책이 세상의 빛을 볼 수 있게 된 계기가 되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이 책은 어디까지나 독자들의 것임을 밝혀둔다.
1. 본 교재는 미시경제학적 기초내용이 90%이고 나머지가 거시경제학적 기초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2. 대부분의 경제학 전공서적들은 문장이 어렵고 현학적이면서 만연체로 기술되어 있어서 이론적 내용을 습득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저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초학자라 할지라도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문장이 최대한 명시적이면서도 간결하게 되도록 노력을 기울였다.
3. 시험에 자주 출제된 부분이나 이론적으로 중요하다고 사료되는 부분은 글씨를 굵게 하면서 색 처리를 하여 수험공부에 집중력을 키우고자 하였다.
4. 경제이론에 필요한 수식이나 핵심내용은 박스 처리하여 알아보기 쉽게 하였다.
5. 경제이론의 설명 중 본문에서는 불필요하지만 추가로 부가할 내용은 ‘참고’에 포함하였다.
PART 01. 경제학의 기초
01. 경제학의 개요
02. 경제학의 본질
PART 02. 수요와 공급의 이론
03. 수요과 공급
04.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05. 수요・공급이론의 응용
PART 03. 소비자이론
06. 한계효용이론
07. 무차별곡선이론
08. 소비자이론의 응용
PART 04. 생산자이론
09. 생산함수이론
10. 비용함수이론
11. 기업의 이윤극대화
PART 05. 시장이론
12. 완전경쟁시장
13. 독점시장
14. 게임이론
15. 생산요소시장이론
PART 06. 거시경제학
16. 거시경제변수
17. 케인즈의 승수이론
18. 재정정책